본문 바로가기
BC주 교육과정

English 12 시 해석, TPCASTT만 알면 반은 끝난다

by 카타리나withC 2025. 7. 24.
반응형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Dulce et Decorum Est” 등 실제 수업에 나오는 시, 어떻게 읽어야 할까?

캐나다 BC주 English 12에서는 다양한 시를 읽고, 그것을 직접 해석하고 분석하는 과제가 정기적으로 등장합니다.
그리고 그때마다 등장하는 바로 그 해석 도구가 있습니다. 이름하여 TPCASTT.

많은 학생들이 이걸 처음 보면 복잡하다고 느끼지만, 사실은 구조만 익히면 대학까지 쓸 수 있는 분석 프레임이 됩니다.


TPCASTT란 무엇인가요?

간단히 말해 시를 해석할 때 사용하는 7단계 분석 도구입니다.
각 단계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약자예요:

  • T – Title: 제목을 먼저 보고 어떤 내용일지 예측
  • P – Paraphrase: 시를 문장 단위로 쉽게 바꿔보기
  • C – Connotation: 상징, 이미지, 은유 등 ‘숨은 뜻’ 분석
  • A – Attitude: 화자의 감정, 시인의 태도 파악
  • S – Shifts: 분위기나 말투가 바뀌는 지점 찾기
  • T – Title (Revisited): 시를 다 읽은 후 제목을 다시 해석
  • T – Theme: 중심 주제는 무엇인가?

이걸 알고 있느냐 모르느냐가 B와 A의 차이, 나아가 대학 입시에서 안정과 불합격의 차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실제 수업에서 다루는 대표적인 시들

English 12 정규 수업과 평가 과제에 자주 등장하는 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 Dylan Thomas
  • Dulce et Decorum Est – Wilfred Owen
  • Barter – Sara Teasdale
  • I Wandered Lonely as a Cloud – William Wordsworth
  • There Will Come Soft Rains – Sara Teasdale
  • The Road Not Taken – Robert Frost
  • To a Mouse – Robert Burns
  • Ozymandias – Percy Bysshe Shelley

이 시들을 TPCASTT로 해석하는 법을 제대로 익히면, 시험뿐 아니라 문학 에세이, 구술평가, 프레젠테이션까지 훨씬 수월해집니다.

 

TPCASTT,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

많은 학생들이 단순히 해석만 외우지만, 진짜 중요한 건 “내 언어로 풀어서 생각하는 힘”입니다.
저는 수업 시간에 이렇게 가르칩니다:

  • 시의 감정선에 집중하라
  • 시가 전하는 이야기가 무엇인가?
  • 시가 쓰여진 역사적 시대, 작가의 일상이 어떠했는가? 
  • 화자의 목소리가 언제, 어떻게 변하는지 주목하라
  • 문학적 장치를 기능적으로 바라보라 (왜 시인은 이 장치를 썼는가?)

이러한 질문을 던지면서 TPCASTT를 활용하는 것이 바로 English 12 상위권의 열쇠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