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C주 교육과정10

Punching the Air 분석: 캐나다BC주 English 12 수업에 실제 사용된 작품 English 12에서는 Punching the Air라는 작품이 실제로 수업 교재로 사용된 적이 있습니다.시적 내레이션과 감정 중심의 묘사가 특징이라, 난이도는 다소 높지만학생들이 문학과 사회를 연결해보는 데 아주 강력한 소재죠.이번 예습 시간에 저는이 작품을 영화로 먼저 보여준 뒤,산문으로 된 원작 소설을 도서관에서 직접 찾아보게 했습니다.처음엔 가볍게 시작했지만학생들의 반응은 생각보다 깊었습니다. “카쌤, 화가 너무 나는데 화내도 되나요.” “왜 왜..진짜 이게 실화 바탕 맞아요??”이런 반응이 나왔을 때저는 ‘이게 바로 수업의 본질’이라고 느꼈어요.작품을 해석하려고 애쓰기 전에, 그냥 반응하는 것그게 문학의 시작이라고 생각합니다.하지만 동시에 느낀 점도 있었어요.학생들이 문화적 맥락이나 종교적 요.. 2025. 7. 29.
Dialectical Journal vs. Disappointing Reflection? 영어 교과 과제에 자주 나오는 두 가지 ‘읽고 쓰기’ 훈련 비교 정리영어 수업에서 책을 다 읽었더니 갑자기 "저널 써 와"라는 말이 떨어집니다.그런데 이게 그냥 ‘책 어땠는지 써 와’가 아니에요.교사들은 생각보다 디테일하게 ‘무슨 형식으로, 어떤 목적의 글을 원하는지’ 정해두고 있습니다.특히 BC주 English 11–12에서는 두 가지가 정말 자주 등장해요.바로 Dialectical Journal과 Reflection Journal, 때로는 "Disappointing Reflection"이라는 말로도 불리는 과제입니다.Dialectical Journal: 독서 중에 텍스트와 대화하는 기록Dialectical Journal은 일종의 생각하는 독서노트예요.작품 속 인용문을 선택하고, 그에 대한 나의 생각,.. 2025. 7. 27.
The Road Not Taken – 다 배운 것 같지만, 다 이해한 사람은 거의 없는 시 미국 고등학교 10학년, 캐나다 BC주 11~12학년 교과서에 반복 등장하는 대표 시Robert Frost의 The Road Not Taken은 너무 유명해서 오히려 가볍게 넘기기 쉬운 시예요.하지만 실제로는 독해력, 해석력, 문학적 장치 분석력이 총동원되는 작품입니다.캐나다 BC주 English 11~12학년 수업에서도 매년 평가 과제나 시험에 등장하고,미국 교과서에서도 10학년 권장 시로 분류되어 있습니다.시 해석 Two roads diverged in a yellow wood,And sorry I could not travel bothAnd be one traveler, long I stood...노란 숲길 속, 갈라진 두 갈래 길.화자는 둘 다 가보고 싶었지만 한 사람이라 그럴 수 없었다고 말합니.. 2025. 7. 27.
Dialectical Journal이 뭐예요? BC주 English 11–12에서 자주 등장하는 "생각하는 독서노트"Dialectical Journal은 한마디로 말해“그냥 읽지 말고, 대화를 하듯 읽어라”는 독서 방법이에요.책을 읽으면서 그 안의 문장, 인물, 주제 등에 대해스스로 생각하거나, 질문하거나, 연결 짓는 기록을 남기는 거죠.그래서 이름도 "Dialectical" — 대화형이라는 뜻입니다.어떤 식으로 쓰나요?형식은 간단합니다. 보통 2단 구조로 나눕니다:텍스트 인용나의 생각, 해석, 연결“He who controls the past controls the future.” (1984)조지 오웰은 역사의 통제가 곧 권력임을 보여주려 한 것 같다. 지금의 언론 통제와도 연결된다. 즉, 왼쪽에는 작품 속 문장이나 장면,오른쪽에는 거기에 대한 내.. 2025. 7. 26.
English 12 문학용어, 이 10개만 알면 다 해석된다 작품을 ‘느끼는 수준’에서 ‘분석하는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열쇠TPCASTT로 시 해석의 뼈대를 잡았다고요?그렇다면 이제는 본격적으로 작품을 ‘깊이 있게’ 읽어야 할 차례입니다.바로 Literary Terms, 문학적 장치들을 읽고, 구별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진짜 English 12 상위권으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그런데 문제는…수십 가지 용어 중 뭐가 진짜 중요한지 모르겠다는 거죠.그래서 오늘은 교사들이 실제 시험과 과제에서 반복해서 사용하는 용어 10개만 뽑았습니다.딱 이 10가지만 알고 있으면, 작품을 ‘읽는 수준’에서 ‘해석하는 수준’으로 자연스럽게 올라갑니다. 1. Theme작가가 말하고 싶은 ‘큰 주제’나 메시지. 사랑, 자유, 통제 같은 키워드에서 더 나아가야 함.eg. In 1984, a.. 2025. 7. 26.
잉글12 TPCASTT로 읽는 The Road Not Taken “두 갈래 길”에 숨겨진 진짜 의미, 학생들은 잘 모릅니다.이 시를 그냥 ‘선택의 시’라고 외우는 건 너무 아쉽죠.TPCASTT 분석을 통해 보면, 이 시가 얼마나 복잡하고 인간적인 후회의 감정을 담고 있는지 보이기 시작합니다.TPCASTT 분석 (요약 버전)T – Title (제목 예측)처음 보면 “가지 않은 길에 대한 아쉬움”쯤으로 생각할 수 있어요.그런데 정말 그럴까요?P – Paraphrase (풀이)노란 숲 속 두 갈래 길에서, 화자는 결국 하나의 길을 택하게 됩니다.그리고 훗날, 그 선택이 “모든 걸 바꿨다”고 말하죠.하지만 앞에서는 두 길이 “사실은 거의 같았다”고도 말합니다.이 부분, 주의 깊게 읽어야 합니다.C – Connotation (함축 의미)길은 단순한 숲속 산책길이 아닙니다.삶의.. 2025. 7. 24.
English 12 시 해석, TPCASTT만 알면 반은 끝난다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Dulce et Decorum Est” 등 실제 수업에 나오는 시, 어떻게 읽어야 할까?캐나다 BC주 English 12에서는 다양한 시를 읽고, 그것을 직접 해석하고 분석하는 과제가 정기적으로 등장합니다.그리고 그때마다 등장하는 바로 그 해석 도구가 있습니다. 이름하여 TPCASTT.많은 학생들이 이걸 처음 보면 복잡하다고 느끼지만, 사실은 구조만 익히면 대학까지 쓸 수 있는 분석 프레임이 됩니다.TPCASTT란 무엇인가요?간단히 말해 시를 해석할 때 사용하는 7단계 분석 도구입니다.각 단계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약자예요:T – Title: 제목을 먼저 보고 어떤 내용일지 예측P – Paraphrase: 시를 문장 단위로 쉽게.. 2025. 7. 24.
Grade 12 English: 대학 진학을 좌우하는 핵심 과목, 그러나 평가에는 함정도 있다 Grade 12 English: 대학 진학을 좌우하는 핵심 과목, 그러나 평가에는 함정도 있다Grade 12 English는 BC주 고등학교 졸업을 위한 필수 과목이며, 캐나다 대부분의 대학에서 입학 조건으로 요구하는 핵심 과목입니다.특히 인문·사회과학 계열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이라면 이 과목의 성적은 사실상 대학 합격 여부를 가르는 결정 요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학생들은 이 과목에서 다음과 같은 고급 영어 능력을 평가받습니다:소설, 시, 수필 등 다양한 텍스트의 주제, 상징, 문체를 분석하는 능력문학 작품과 사회 이슈를 연결하여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글로 표현하는 능력주장문, 비교 분석 에세이, 시 해석 과제 등 구조화된 글쓰기 수행 능력발표 및 토론을 통한 말하기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하지만 이렇게.. 2025. 7. 24.
왜 이 시리즈를 시작하게 되었을까요? 왜 이 시리즈를 시작하게 되었을까요?이 시리즈를 기획하게 된 데에는 학생들의 학습 혼란, 그리고 정보 부족으로 인한 현실적인 피해를 목격한 경험이 크게 작용했습니다.유학생, 특히 중고등 과정을 밟는 학생들과 그 가족들은 대부분 유학원을 통해 진학을 준비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일부 유학원에서는 BC주 교육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 없이 단편적인 정보만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겉으로는 전문가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필수 과목의 구조, 대학 입시에 미치는 영향, 과제와 평가 방식에 대해 깊이 있는 안내 없이 학생과 학부모를 무방비 상태로 내모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아이들은 해외에 나와서도 이 학교 저 학교를 전전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정보의 공백 속에서 결국 학생 본.. 2025. 7. 24.
BC 고등 문과과정 로드맵 시리즈 시작합니다! BC 고등 문과과정 로드맵 시리즈 시작합니다!유학생·이민자·튜터를 위한 학년별 영어·사회과학 커리큘럼 완전 정리안녕하세요, 카타리나입니다.저는 한국에서 중·고등 영어교사, 강사로 11년간 근무하며 수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님을 만났고, 교육학 학사 및 영어교육학 석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캐나다 BC주 메이플릿지에 위치한 교육기관에서 고등학생들을 직접 가르치며, 캐나다 교육과정 안에서 유학생이 겪는 어려움을 누구보다 가까이서 체감하고 있습니다.특히 BC주 문과(English Language Arts & Social Studies) 교육과정은 한국의 교육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구조와 철학이 매우 달라 처음 접하는 학생, 학부모, 그리고 튜터 분들께 큰 장벽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단순한 지식 암기.. 2025. 7.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