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C주 교육과정

잉글12 TPCASTT로 읽는 The Road Not Taken

by 카타리나withC 2025. 7. 24.
반응형

 

“두 갈래 길”에 숨겨진 진짜 의미, 학생들은 잘 모릅니다.

이 시를 그냥 ‘선택의 시’라고 외우는 건 너무 아쉽죠.
TPCASTT 분석을 통해 보면, 이 시가 얼마나 복잡하고 인간적인 후회의 감정을 담고 있는지 보이기 시작합니다.


TPCASTT 분석 (요약 버전)

T – Title (제목 예측)
처음 보면 “가지 않은 길에 대한 아쉬움”쯤으로 생각할 수 있어요.
그런데 정말 그럴까요?

P – Paraphrase (풀이)
노란 숲 속 두 갈래 길에서, 화자는 결국 하나의 길을 택하게 됩니다.
그리고 훗날, 그 선택이 “모든 걸 바꿨다”고 말하죠.
하지만 앞에서는 두 길이 “사실은 거의 같았다”고도 말합니다.
이 부분, 주의 깊게 읽어야 합니다.

C – Connotation (함축 의미)
길은 단순한 숲속 산책길이 아닙니다.
삶의 방향, 선택, 기회를 상징하죠.
여기에 담긴 감정은 단순한 만족이 아니라, 약간의 후회와 자기 위안이 섞여 있습니다.

A – Attitude (어조와 감정)
겉으로는 담담하지만, 자세히 보면 회고적이고 살짝 씁쓸한 느낌이 있어요.
“내가 덜 간 길을 택했다”는 말은, 약간 자신을 설득하려는 태도처럼도 읽힙니다.

S – Shifts (전환점)
중간에 길을 묘사하다가 마지막 연에서 갑자기 "That has made all the difference."
이 문장이 주는 반전과 아이러니가 시 전체 분위기를 뒤흔듭니다.

T – Title (다시 보기)
처음엔 단순한 ‘선택’의 시처럼 보이지만,
다시 보면 "The Road Not Taken", 즉 ‘택하지 않은 길’이 제목이라는 점이 의미심장합니다.
결국 화자는 가지 못한 그 길에 대해 계속 생각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T – Theme (주제)

  • 인생의 선택과 그 결과
  • 인간의 후회와 자기합리화
  • 모든 선택은 결국 무언가를 놓치는 것

 여기까지가 TPCASTT 분석의 뼈대 요약 버전입니다.
실제 시험이나 에세이에선 여기에 직접 인용, literary terms, 해석 문장이 더 들어가야 고득점이죠.

 

이렇게 잉글12 빈출 시를 한 번 살펴보았습니다.

BC주 문과, 영어 커리큘럼이 조금 이해되시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